brainage.egloos.com

포토로그



5G 커버리지 맵 - 5G는 사실상 사기네 by 천하귀남

5G서비스가 개시되고 거의 1년이 되어가는 지금 각사의 커버리지 맵을 통해 얼마나 깔렸는가 확인해 보니 이거 상상외로 형편 없습니다.

작년도 7월에 동일 내용을 포스팅 했는데 이때와 비교하면 고속도로 한두개 추가된것 빼고 변한것이 없습니다.


위가 KT의  올해3월 아래는 작년 7월입니다. 강원도와 서해안 고속 깔린부분은 있는데 전국망이라 하긴 참 초라합니다.





SKT나 LG도 대동소이 합니다. 보나마나 각사가 투자 얼만큼 할지 말 맞췄겠지요.



여기에 제일 심각한 부분은 5G 기지국의 커버리지가 좁다는 문제때문에 전국단위로는 문제 없어 보여도 실상 서비스 안되는 구역이 매우 크다는 부분입니다.

서울은 몰라도 광명시는 이렇습니다. 실상 전파 직진성이 강한 5G특성상 음영은 더 심할겁니다.
시가지 외곽 벗어나면 정말 심한데 고속도로 조차 아직 기지국이 쭉 이어지지 않습니다. 사실상 대도시권만 겨우 커버하는 상황이군요.



참고로 동일 지도에서 LTE는 이렇습니다.

이걸 보면 매우 우려되는 부분이 현재 서비스는 사실상 LTE기반이고 5G는 보조라는 부분입니다. 이래놓고 요금은 5G요금제입니다. 근거리에서 고속 통신하는 28G주파수는 아예 기약도 없군요.

작년에서 현재까지 늘어난 부분 고려할때 이거 내년에도 정상서비스 구실 못할 듯 합니다. 5G가입은 사시는 지역과 이동패턴 고려해도 올해는 조심하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헌데 이러면 내년에도 별 차이가 있을까 합니다. 현실적으로 내년 후반되야 대도시권에서 70%정도 이외는 50%도 안될 듯 합니다.
모양보니 가입자가 폭주해서 전국망 구축하는 역량은 대도시권 안정화에 다 때려박는것 아닐까 합니다.

P.S
지하철에 5G완공은 올해 말까지입니다. 지금 현재는 안 터지는 곳 많습니다. 이것도 작년말까지라더니 연장에 연장된 계획이라 올해도 연기 안 된다는 보장 못할겁니다.


P.S2
LTE의 경우 서비스 개통전에 공사가 시작된 점을 고려해도 서비스 개통시 28개시 서비스로 시작해 6개월 정도 지난 11년 말에 80여개 시 서비스개시에 지하철 완비로 정말 빠르게 흘러갔습니다.
이러니 12년 말이 되면 가입자 1500만, 트래픽은 12년 3월에 3G의 25%이던 것이 12년 말에 3G트래픽을 넘기는 상황입니다. 13년 말이면 가입자 3000만명으로 어지간한 사람은 거의 다 하는 상황이 왔지요.

덧글

  • 타누키 2020/03/30 11:25 # 답글

    아직도 멀었네요. ㄷㄷ
  • 천하귀남 2020/03/30 12:26 #

    예상 이상으로 느리게 돌아갑니다. 여기에 올해 코로나 문제도 겹쳤으니 더 느려지려나 합니다.
  • 나인테일 2020/03/30 22:21 # 답글

    LTE도 처음에 저 모양이었죠
  • 천하귀남 2020/03/31 07:14 #

    https://news.joins.com/article/6324049
    지하철 완공 시점 같은것을 보면 느리긴 합니다. 가입자 증가가 예상같지 않으니 속도조절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LTE는 1년에서 6개월정도 서비스 개시전에 공사를 시작하긴 했지만 개통당시인 11년 중반에 28개시서비스 11년 말에 80여개시 서비스로 늘고 이 무렵에 지하철도 다 깔렸습니다. 이러니 12년 말에 가입자 1500만, 트래픽으로 3G를 넘겼습니다.
  • 레드진생 2020/03/31 10:01 # 답글

    혹시 5G는 동일커버리지를 위해서는 LTE보다 기지국이 더 많이 필요하다거나 한가요? 이렇게 서비스범위가 좁을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네요.
  • 천하귀남 2020/03/31 10:59 #

    5G는 빠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주파수를 높게 잡았는데 이러면 도달거리도 짧아지고 건물등에 가려지는 현상도 심해집니다.
    대략 3~5배는 기지국을 더 깔아야 합니다.

    다만 기술의 발전으로 기지국 자체는 더 간단해 졌습니다. 그래도 기지국과 뒷단 서버등의 설치비용은 LTE보다 더 덜어가긴 합니다.
    http://brainage.egloos.com/5928919
    여기에 음영구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8Ghz대 스몰셀 표준도 있습니다. 이건 한 1~2년 정도 지나야 본격적으로 깔리겠더군요.
  • 홍차도둑 2020/03/31 11:20 # 답글

    얼마전에 일본 잡지 기자와 5G가 되면서 뭐가 좋아졌냐고 물어보는 인터뷰를 했습니다. 다른 분들은 핸드폰 새로 사니 5G가 따라왔다 수준이었지만 저만 다른 이야기를 해서 일본 기자가 절 집중 인터뷰를 했습니다. 그 부분이 '전송속도' 였는데 이전엔 경기 촬영뒤에 구단 홈페이지나 직원 이메일, 또는 웹하드에 올려주려면 그냥 PC방 가야 했고 고속버스 타고 가면서 전송하는건 꿈도 못꿨다고 했습니다. 전 촬영하면 일단 100GB급이라서 쉬운일이 아니었거든요. 그런데 5G 되면서 핸드폰 테더링 한 뒤 경기장에서 바로 올려버리고 이동하거나 이동중 올릴 수 있게 되어서 좋다고 했습니다. 깜짤 놀라더군요.

    일본은 이제야 5G 시험을 하는 중이라 한국에서 5G 서비스를 쓰는 사람들의 체감을 물어보려 했는데 유튜브 등을 많이 보는 분들도 그런 부분을 체감을 많이 못하고 해서 기사 쓸 거리가 없었다고 상심하다가 제 이야기를 듣더니만 아주 좋아하더군요. 저야 운 몇가지가 맞은 경우(G스타 등의 행사. 축구장이라는 대중들이 많이 오는 곳이라 우선적으로 설치하게 되는 포스트)라서 그 기자분의 인터뷰에 도움이 된 것이긴 하죠.

    영상작업 하는 사람들, 그리고 거대 네트워크 게임을 하는 사람들에게 5G라는 환경은 이전보다 더 거대한 캔버스를 제공한 것이고 그것을 사용하는 컨텐츠가 조금만 더 나와도 더 큰 네트워크가 형성될 것이라고 했죠.
    얼마 뒤 기사 올라오면 링크 보내준다 했으니 링크 걸게되면 포스트 올리겠습니다.
  • 천하귀남 2020/03/31 12:27 #

    아닌게 아니라 영상쪽은 LTE라인 2~3개를 묶어 영상전송하는 솔루션도 나와 있는데 5G면 더 말할 것 없이 좋겠더군요. 좋은 경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니 빨리 좀 깔려 줬으면 합니다.
    제경우 아직 지하철에 깔리지 않은 부분과 28GHz 부분이 국내에 설치 안 되어 있는 부분 때문에 앞으로 2~3년 뒤에나 넘어갈까 합니다.
    지하철 이야기 하는 이유의 하나는 5G는 만원 지하철수준의 밀집도에서도 고속전송이 가능해서 이 부분이 일반인에게 제일 크게 와 닿을 부분이라 봅니다.


    다만 기술표준상으로 저속 상시연결시 기존에 비해 크게 저렴하게 사용이 가능한데 이 부분에서 통신사가 욕심내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는 좀 있습니다.
  • 휴메 2020/03/31 16:55 # 답글

    LTE처럼 제대로 쓸수 있게 되려면 3~5년은 걸리지 않겠나싶습니다
  • 천하귀남 2020/03/31 17:53 #

    지금 상황은 LTE보다 거의 1~2년 느리다고 보입니다.
    LTE는 고객모집하고 2년 정도 지나서 전국 주요 지하철과 도시가 사용가능했는데 5G는 장담 못할 상황입니다. 한마디로 출퇴근과 야외활동에서 안터지는 수준입니다.
  • 잘생긴 허스키 2020/03/31 21:32 # 답글

    28기가헤르츠도 아니면서 군에서는 안터지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통계 위젯 (화이트)

333361
2166
6544306

2019 대표이글루_IT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412

당부드리는 말

블로그 사진을 포함한 전체가 아닌 일부의 내용은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생각이 있다면 욕설과 과도한 비아냥은 자제를 부탁드립니다. 정도가 심하거나 비로그인의 글은 임의 삭제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A타입 클린 캠페인 위젯

방문자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