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inage.egloos.com

포토로그



옛 그림을 사료로 쓰는 것은 위험합니다 by 천하귀남

일본에는 군담류 라는 대중소설이 에도막부 시절에 유행했습니다. 무협소설 비슷한 것인데 대중상대의 인쇄판매하는 소설이라 후기에는 삽화가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일본 에도 시대는 쇄국이 기본이고 당연히 외국의 정보는 제대로 몰랐습니다. 일반인 수준의 일본 삽화가가 제대로 참조할만한 정보는 별로 없었지요.

아래 그림의 경우 그 군담류중 임진왜란의 주범인 히대요시의 일대기를 다룬 에혼다이코기의 삽화입니다. 일단 발간 연대가 1801년인가 하는데 임진왜란에서 한참 떨어진 시기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거북선 그림이라 합니다.
그림에 좌상단에서 우하단으로 쭉 이어진 배들이 바로 거북선이라 하지요. 일반적으로 알려진 거북선과 매우 다르게 생겼습니다. 

당연하게 작가적 상상력으로 그려진 그림입니다.

뭐 이 에혼 다이코기 6권 발문에 작가가 조선의 그림자료를 얻으려 해도 제대로 된것이 없다했고 나중에 겨우 조선의 풍속화를 얻어 7권부터 이를 보정하겠다는 내용을 써놨습니다. 하지만 약간의 풍속화로 얻을 정보는 복식 정도이니 나머지야 상상이지요.

더군다나 이런 그림을 비롯 당대 그림은 사실적인 묘사보다 전통적으로 이렇게 그린다는 요소도 엄청나게 많고 치열한 출판 경쟁으로 과거 다른책의 그림을 베끼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리고 이중에 중국에서 건너온 삼국지 그림도 많지요.

그러니 이런 그림만 보고 과거에 이러한 요소가 있지 않았나 하는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그림이나 문헌은 수많은 전문 학자들이 많이 연구해 자료가 쌓여있습니다. 수많은 자료를 서로 비교해보고 걸러내는 요소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러니 언급할때 주의가 필요하다 봅니다.

국내에서는 이글루스에도 블로그를 만들고 계신 김시덕 선생님의 그림이된 임진왜란이라는 책이 나와있습니다. 여기서도 군담류의 사료적 가치는 없고 이것을 사료인것 처럼 인식하는 것의 위험함에 대해 말하시더군요.



P.S
국립 중앙도서관에 진열되 있는 통신사 행렬도인데 이것도 보니 복식이나 이런것이 요상합니다. 전통적인 사모가 아닌 일본의 시쓰샤칸과 유사하군요. 더군다나 나이로 봐서 50대가 넘은 분을 그렸는데 수염이 없는 부분도 묘합니다. 제대로 보고 그린것인지도 의심스럽습니다.

덧글

  • 解明 2019/03/15 14:18 # 답글

    당대 일본인들의 임진왜란 인식을 확인하는 자료 정도로 제한적으로 활용해야겠군요.
  • 천하귀남 2019/03/17 09:09 #

    정보가 정확하지 않던 시절의 당대인식 정도여야 하지 저걸 사료로 인정하면 여러가지로 혼란을 일으킬듯 합니다.
  • 까마귀옹 2019/03/15 19:06 # 답글

    통신사를 모델로 한 다른 그림 중에는 복식은 그럭저럭 잘 묘사했는데 외모가 어째 전부 사천왕상 수준인 것도 있었죠.
  • 천하귀남 2019/03/17 09:09 #

    직접 보고 그린것이 아닌 듣고 그리는 것이라 한계가 많아 보입니다.
  • 잡글러 2019/11/23 12:33 # 삭제 답글

    임진왜란 관련 그림들이 전부 믿을 수 있는 것은 못되죠.조선과 일본의 해전도 그림도 조선군이 병사 한명 한명까지 전부 두정갑을 입은 모습은 현실성이 너무 떨어집니다.일본 명나라보다 경제력이 낙후되고 후진적이었던 조선이 병사한명 한명에게 그런 비싼 갑옷을 입힐 능력이 됬을까요?그런데 그런 그런 그림이 사실이라고 이를 토데로 명량같은 고증최악의 영화를 만들었죠.병사한명당 두정갑 다 입혀서요.돈이 없어서 고증을 못 지키는 것이 아니라 막대한 돈을 들여서 고증을 어기는 웃기는 상황을 영화제작진이 만듭니다.그 시절 조선군복장이라면 웨이터같은 포졸복,불멸이순신같은 하늘색 포졸목에 요상한 수글자 붙인 옷,명량같이 돈지랄하면서 두정갑입힌 것이 아닌 영화 남한산성처럼 테가 있는 갓모양의 투구와 간단한 조끼형 갑옷을 입어야 제대로된 고증이죠.임란당시 일본 카톨릭 신부 프로이스도 임란상황을 보고 기록을 하길 조선병사들이 검은 철제 투구에 갑옷을 입었다고 했는데 그것이 해전도와 영화 명량의 두정갑은 아니고 영화 남한산성의 조선군 복장일겁니다.그래서 그림은 자료로는 쓰되 맹신은 말라는 것이죠.
  • 잡글러 2019/11/23 12:50 # 삭제 답글

    임진왜란 해전도 그림은 일본에서 그린것이라 합니다.일본이 어째서 조선군을 그리 과대평가하고 전신무장을 입혔는지는 모르겠지만 사실은 아닐겁니다."그림이된 임진왜란"책에 나오는 저 통신사 모습도 일본이 임란 해전도를 자기들 시각에서 그린 것과 같은 이치일 것입니다.그림을 보니 틀린 곳이 많군요.가마를 탄 통신사가 쓴 관모가 쓰기노에이칸 형태인데 관모뿔은 조선 명나라 관모뿔 처럼 양쪽으로 네모지게 펴져 있어요.일본도 당시 히데요시 초상화처럼 명나라 조선식으로 머리를 완전 덮는 사모형태에 양옆으로 퍼진 사모뿔을 가진 관모를 썻지만 저런 머리 위를 살짝 덮은 형테의 관모는 문관은 밑으로 축 내리고 무관은 말아올린 형태며 천황은 위로 뻗어 올린 형태였지 저헐게 양옆으로 편 해괴한 조합은 아니었어요.거기다 스기노에이칸은 위에 살짝 걸친형테라 비녀같은 동곳으로 꽂아야 안 벗겨지고 고정되는데 동곳이 없으니 더욱 엉터리인거죠.뒤에 갓쓴 사람들도 조선인들같은데 당시 조선은 중기조선이라 후기조선처럼 원뿔형태의 말총흑립갓을 썻지 저런 위가 둥근 원립발립형 갓은 안 썻어요.원립형 갓은 조선 초기부터 성종시기까지 썻는데 대나무로 역어서 옻칠을 해서 썻죠.드라마 정도전을 보면 알수있어요.그리고 저런 모양의 갓은 당시 명나라에서는 계속 사용했기에 아마 명나라 발립과 조선 갓을 혼동한 오류같군요.참고로 위가 둥근 원립 발립은 몽골이 고려를 침략할때 몽골에서 전수된 모자라고 합니다.이래서 자료가치는 있으나 맹신은 금물이란거죠.
  • 잡글러 2019/11/23 13:06 # 삭제 답글

    통신사그림에 나오는 인물들이 전부 수염이 없는 것 또한 일본시각에서 조선통신사와 일행들을 자기네 식으로 왜곡해 그린겁니다.일본인들만을 기준으로 한 그림이라면 수염이 없는 것이 고증에 안 틀립니다.전국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시대 에도시대 일본 무사나 디이묘 쇼군 초상화를 보면 수염이 없는 인물 그림이 많아요.그 당시 일본은 고대 로마제국처럼 수염을 면도하는 것이 유행이었어요.조선이나 명나라는 수염이 없는 인물 초상화면 젊은 나이에 요절한 인물이나 환관내시일 경우가 대부분인데 일본은 궁형이나 거세하는 풍습 자체가 없었고 환관이나 그 제도가 없었는데 수염이 없는 인물들이 많다면 그건 분명 면도문화가 대중화됬다는 거죠.아마 수 많은 내전을 격어서 전투에 통신사 그림의 머리민 일본인 모습처럼 거추장스러운 머리를 밀고(이를 사카야키라고 함) 마게상투를 한 것과 같은 이치로 전투중에 수염은 거추장스러우니 밀었을테고 평화로운 시기에도 워낙 날씨가 조선과 명나라에 비해 습하고 더우니 위생차원에서 수염을 밀었을 수도 있죠.책 표지의 일본무장 갑옷도 전국시대 임진왜란 에도시대 갑옷과는 차이가 있어요.책 표지 갑옷은 무로마치시대 오오요로이갑옷인데 이게 또 진짜인줄 알고 불멸 이순신이나 명량의 왜장들을 저걸 입히는 고증오류를 범합니다.당시 일본갑옷은 당세구족이란 간소화된 갑주에 진바오리 조끼를 입은 것이 임란시기 왜장 갑옷입니다.사료적 가치가 없진 않죠.그러나 거기서 거를 것은 거르고 다 믿지는 말자는 겁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통계 위젯 (화이트)

339301
2166
6543951

2019 대표이글루_IT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412

당부드리는 말

블로그 사진을 포함한 전체가 아닌 일부의 내용은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생각이 있다면 욕설과 과도한 비아냥은 자제를 부탁드립니다. 정도가 심하거나 비로그인의 글은 임의 삭제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A타입 클린 캠페인 위젯

방문자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