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inage.egloos.com

포토로그



노트북에 썬더볼트3 외장 그래픽카드 추가는 어떨려나? by 천하귀남

인텔메인보드에 썬더볼트3 인터페이스가 추가되면서 그래픽 카드를 외장으로 다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헌데 아무래도 케이스만 가격이 30만원이나 되고 안에 넣는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30%정도 깍는다고 하니 그리 많이 팔리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여기에 이런 외장 그래픽 카드는 당연하게도 추가 모니터도 있어야 합니다. 생각 외로 돈이 들어가겠군요.


그래도 이것이 나온지 2년정도 되면서 처음부터 그래픽 카드를 일체화 시킨 모델도 나오는 중이고 이것은 그나마 좀 저렴합니다. 80만냥쯤 하는군요 ^^;


노트북에 고급형 그래픽 카드가 들어가는 것도 좋지만 이 경우 발열기구를 생각하면 노트북이 절대 가벼워 지지 못합니다. 여기에 사용전력의 문제로 배터리 구동은 무리입니다. 이러면 그래픽 외장모듈을 사용 하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아 보이는군요.

이렇게 사용하면 집에서는 고성능을 요구하는 게임을 외장 그래픽으로 돌리고 집 밖에 휴대해야 할때는 노트북 본체만으로 가볍게 다닐 수 있습니다. 또 노트북의 업그레이드시에도 그래픽 카드는 따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기도 하지요.

다만 제 경우는 HDD용량도 제법 사용하는 중이라 당분간은 데스크탑을 유지하기는 해야겠군요. 헌데 썬더볼트 외장모듈은 HDD내장이 가능한 물건도 있으니 이런 것이 적당한 가격에 나와준다면 또 가능성이 있다 하겠습니다.

덧글

  • hany190 2018/04/26 10:45 # 답글

    노트북으로 게임을 하겠다는 것은 장소에 제한 없이 게임을 하고 싶다라는 니즈 때문일 것인데 이런 외장 그래픽 모듈의 경우 그럴 바엔 그냥 게임용 데스크탑을 하나 더 쓰면 되지 않는가. 라는 대안이 존재 합니다.

    아마도 활성화되긴 힘든 시장이라고 생각합니다.
  • shaind 2018/04/26 11:15 #

    과거에는 고사양그래픽용 데스크탑과 모빌리티 작업용 노트북이 이원화됐는데 이제 노트북+외장그래픽 만으로 두 용도를 아우를 수 있다는 게 장점일 것 같습니다. 컴퓨터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 문제도 없어지고...
  • 천하귀남 2018/04/27 09:43 #

    뭐든 기기는 다다익선이긴 하니 최고로는 노트북 + 데스크탑이긴 합니다.
    하지만 한 기기로 통합해서 다용도로 쓰고 싶다는 요구도 많은데 문제는 게이밍 노트북의 경우 들고다니기에는 제법 무겁다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밖 다시말해 직장이든 학교든 야외에서 게임할 상황이 되는가 하는 문제도 있지요.

    이런 부분에서 경량의 노트북으로 밖에서 사용하고 집안에서 게임용으로만 외장그래픽을 연결하는 사용방법은 경제성과 휴대성 양쪽에서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라고 봅니다.
  • 무지개빛 미카 2018/04/26 10:48 # 답글

    왠지 모르게 옛날 휴대용 게임기에 Tv나오게 하는 옵션기기라든가 추가연결 해서 CD돌려지게 하는 것 같은게 생각나는군요...
  • 천하귀남 2018/04/27 09:44 #

    그래도 과거 노트북들에 쓰이던 도킹스테이션은 해당 노트북의 전용이 대부분이었는데 이제 썬더볼트라는 표준방식의 등장으로 다양한 노트북에서, 노트북의 세대 상관없이 쓸수 있다는 부분이 매우 좋다고 봅니다. ^^
  • 루루카 2018/04/26 10:57 # 답글

    그런식으로 할 바에야, 그냥 데스크탑을 마련하는게 낫지 않겠나 싶네요.
  • 천하귀남 2018/04/27 09:46 #

    최상으로 보면 데탑이 따로 있는것이 좋지요.
    다만 집에 번잡한것 놓기 싫고 집안에서도 이리저리 가지고 다닐수 있는 노트북이 좋다는 사람도 있는데 이런 사람에게 고성능 게임도 가능하게 한다는 부분에서 외장그래칙 카드도 좋은 방법이라 봅니다.
  • fendee 2018/04/26 13:42 # 답글

    저도 한 때 썬더볼트를 이용한 외장그래픽 카드를 알아봤는데, 결과부터 얘기하면 현재로써는 가격대비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비트코인 사태로 외장그래픽카드 가격 자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런 방식을 사용하려면 비용이 다소 많이 드는데, 컴퓨터 한 대 살 돈으로 외장그래픽카드를 위한 전용 박스를 구입하면서까지 썬더볼트 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있느냐 하는 것이죠.
    일단은 그래픽카드 가격 하락으로 시스템을 꾸미는 가격이 하락할 때까지는 이 방식은 가격 면에서 매력이 없어 보입니다.
    (또한 아직까지는 외장그래픽카드 박스를 이용해서 연결할 경우 그래픽 카드 성능을 100% 발휘하지 못하고, 발열과 소음 및 전력소모 면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죠.)
    그보다 본인의 컴퓨터 사용 패턴과 어떤 방식을 사용하고 싶은지에 맞춰 장비를 구비하는 것이 가장 좋겠는데요.
    굳이 노트북으로 고성능 게임 및 고 사양 그래픽 성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할 이유가 없다면 좀 귀찮더라도 노트북과 데스크톱 컴퓨터를 별도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이 나은데, 데이터가 두 컴퓨터로 분리되는 관리상의 문제라면 USB외장하드를 별도 구비해서 공유하는 것이 그나마 편한 방법이겠습니다.
    노트북으로는 가볍게 웹서핑과 문서 작업 정도만 한다면, 오히려 최근에 나오는 비교적 고사양이면서 가벼운 노트북을 구비하는 것이 이동 작업에서 더 이점이 있죠.
    노트북으로 고 사양 그래픽 작업을 함께 하려고 부품을 맞추면 무게가 늘어날 수밖에 없으니까요.
    나중에 더 고사양이면서 부피가 작고 발열이 적은 그래픽 카드가 나온다면 노트북에 고 사양 그래픽 카드만 끼우면 되니 썬더볼트 방식을 사용하려고 외장그래픽 박스를 꾸밀 필요가 없어질 것이고, 고 사양 그래픽 카드의 부피는 여전히 크지만 가격이 하락하여 가격 부담이 줄어든다면 그때 가서 외장박스를 고민해 보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이런 문제는 다른 분야에서도 비슷한데, 어느 기기 한 대로 모든 작업을 다 할 수 있도록 하려는 욕구는 항상 있지만, 결국은 이도저도 아니어서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불편을 상당히 감수해야 하는 결과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 천하귀남 2018/04/27 09:47 #

    확실히 가격대비 성능은 아니긴 하지요.
    하지만 노트북 하나로는 게임을 즐기기 어렵다는 부분에서 저런 외장그래픽 카드는 나름 나쁘지 않은 해결책이긴 하다고 봅니다.
  • RuBisCO 2018/04/26 17:32 # 답글

    https://egpu.io/gigabyte-aorus-gtx-1080-gaming-box-review-pocket-rocket/
    20-30%의 성능손실은 이전세대에서 옵티머스로 자체 스크린으로 출력할때 이야기고 현재는 랩탑 자체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상황에서 10~20% 정도입니다.
    마진에 눈이 멀어서 바가지를 씌우는데 급급한 현 PC 업계의 추태만 아니었다면 괜찮은 가격에 나오기만 했다면 충분히 메리트 있는 물건이었을텐데 안타깝죠.
  • 천하귀남 2018/04/27 09:48 #

    별개의 외장모니터 없이 자체 모니터의 성능으로 10%라면 매우 매력적이군요.
    가격이야 현재는 아쉽지만 미래는 좀 기대해봐야겠습니다.
  • RuBisCO 2018/04/27 10:32 #

    시장 규모가 그렇게 크지 않고 수요층 역시 특성이 특성인지라 호갱님 장사로 기울어지는지라 가격인하는 기대하기 힘들겁니다. 차라리 AMD에서 신규규격을 만드는게 더 빠를지도.
  • 컴덕후시밤 2018/04/28 06:19 # 답글

    예전에 시도되었다가 호응부족으로 실패되었던 XGP가 생각나게 됩니다. 이번에는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고가의 노트북용 mGPU 를 팔아먹고 싶었던 탓인지 해당 포트 지원하는 노트북은 에이서의 서브노트북, 페라리원 말고는 본 기억이 안납니다. 밖에서는 경량의 휴대가 편리한 노트북으로 동작하고, 집에 와서는 USB 3.1로 직접 스토리지 연결하고, 썬더볼트의 eGPU 를 연결해서 데탑급의 게이밍 환경으로 사용가능한 환경이 되면 좋지 않겠습니까.

    물론 이렇게 말하고 있는 저는 데스크탑을 쓰긴 하겠습니다만....ㅎㅎ
  • 천하귀남 2018/04/29 09:47 #

    노트북에 교체 가능한 그래픽 카드를 넣기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데 썬더볼트는 대부분의 노트북이 인텔기반이라 채용된 노트북이 많아서 그나마 다행이라봅니다.
    물론 저역시 데스크탑이 있는 이상은 그래픽타드 확장을 이쪽 위주로 하겠지요.
  • 컴덕후시밤 2018/04/28 06:20 # 답글

    사실 기가의 저런 솔루션류는 GPU 가격 폭등 전에 B2B 계약으로 사둔 그래픽카드와 외장모듈 가격이 그래픽카드 단독 구매가격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현실에서 그래픽카드를 사면 덤으로 eGPU 장치를 준다는 점이 메리트가 컸을겁니다.ㅋㅋ
  • 천하귀남 2018/04/29 14:05 #

    가격부분에 그런 사연이 있군요.
  • 컴덕후시밤 2018/04/30 17:39 #

    미리 B2B 계약으로 대량 구매를 해두었던 덕으로, HP의 Omen 이나 Dell의 에일리언웨어 데스크탑을 보면, 옵션으로 1080ti 가 HP는 $700Dell은 $750으로 획득 가능합니다. 구매시 무조건 SLi 로 세팅하고 받은 다음 한장 뽑아 팔아버리면 꿀을 빨 수 있죠.ㅎㅎㅎ
  • 컴덕후시밤 2018/04/30 17:53 #

    그래서, 1080ti SLi 적용 게이밍 PC를 맞추려 하게 되면 조립PC 사는 것보다 HP나 Dell의 게이밍 PC 사는게 오히려 낫습니다. 가격차이가 안나고 AS도 좋고 그렇죠.
  • 천하귀남 2018/05/01 17:21 #

    역시나 공급가 계약은 잘하고 볼일입니다. ^^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통계 위젯 (화이트)

326301
2166
6543938

2019 대표이글루_IT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412

당부드리는 말

블로그 사진을 포함한 전체가 아닌 일부의 내용은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생각이 있다면 욕설과 과도한 비아냥은 자제를 부탁드립니다. 정도가 심하거나 비로그인의 글은 임의 삭제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A타입 클린 캠페인 위젯

방문자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