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7의 단종이 결정됬군요. 이제 흑역사가 되버린 이 기종의 교환/환불이 뒤를 이을것이고 여기에 관련 제조사나 유통업체등의 피해까지 고려하면 어마어마한 금액이 허공에 날라갈겁니다.
무었보다 그동안 정말 장 성장해온 삼성과 갤럭시폰의 브랜드 가치에 입는 타격이 크군요.
인터넷에 접속하는 정보를 통계로 보여주는 스탯카운터에서 나라별로 1위를 한 스마트폰 제조사를 보면 이렇습니다.

정말 삼성이 엄청나게 커온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제 그 절대적인 1위 이미지에 완전히 먹칠을 했으니 시장은 어디로 가려나 싶군요. 갤럭시 노트의 차기작이 나오려면 아직 수개월 이상 소요될테고 갤럭시 노트같은 대형 패블릿폰은 뚜렷한 강자가 없습니다. 아이폰7 플러스가 있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폰으로 OS교체가 부담되는 사람도 제법 되지요. 국가 단위로 안드로이드 OS로 기운 나라가 제법되서 반사적으로 애플이 이득이라 할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P.S
LG가 반응을 보이긴 했군요. G5의 가격을 인하했습니다.
http://underkg.co.kr/news/1547901
헌데 사람들이 원하는건 V20일텐데... 참 이러니 1000만대 넘게 판 플래그쉽이 없다 싶습니다.
무었보다 그동안 정말 장 성장해온 삼성과 갤럭시폰의 브랜드 가치에 입는 타격이 크군요.
인터넷에 접속하는 정보를 통계로 보여주는 스탯카운터에서 나라별로 1위를 한 스마트폰 제조사를 보면 이렇습니다.


이제 그 절대적인 1위 이미지에 완전히 먹칠을 했으니 시장은 어디로 가려나 싶군요. 갤럭시 노트의 차기작이 나오려면 아직 수개월 이상 소요될테고 갤럭시 노트같은 대형 패블릿폰은 뚜렷한 강자가 없습니다. 아이폰7 플러스가 있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폰으로 OS교체가 부담되는 사람도 제법 되지요. 국가 단위로 안드로이드 OS로 기운 나라가 제법되서 반사적으로 애플이 이득이라 할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렇지만 위의 그래프를 보면 알수 있듯 안드로이드 진영에 삼성을 빼면 아주 뚜렷한 2인자가 없습니다. LG,소니,화웨이,HTC정도가 있습니다.

미국시장은 구글이 직접내는 픽셀시리즈가 있.........................................................................지요?
그러고 보면 구글의 픽셀이 아주 기회는 잘잡았습니다. 갤럭시노트의 말썽이 시작되면서 넥서스 판매량이 8배나 늘었다는 말도 있더군요. 이것이 픽셀폰에도 이어질 수 있으려나 합니다.
제경우 삼성폰은 OLED수명문제로 선택의 대상이 아니었고 안드로이드 OS가 많이 안정화 되면서 업체간의 차이도 아주 크다고 느껴지지는 않다보니 AS와 가격을 보고 작년도 플래그쉽인 LG G4를 구했습니다. 확실히 이맛에 플래그쉽 쓰는구나 싶은 요소가 많더군요.
다른곳은 몰라도 국내면 이번 사태로 LG가 나름 득을 보지 않을까 합니다만 그래도 갤노트가 안되면 갤럭시7으로 갈 사람이나 후속작 기다리는 사람을 꼬실수 있는 뭔가 화끈한 반응이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여지껏 플래그쉽 천만대의 목표달성도 못해본 LG는 정말 생각 깊이 했으면 합니다.
물론 제일 큰 득은 애플이 볼테고 몇달 뒤 갤럭시 노트의 후계작이 나오면 기타 업체들의 재미도 크게 줄어들긴 할겁니다.
물론 제일 큰 득은 애플이 볼테고 몇달 뒤 갤럭시 노트의 후계작이 나오면 기타 업체들의 재미도 크게 줄어들긴 할겁니다.
P.S
LG가 반응을 보이긴 했군요. G5의 가격을 인하했습니다.
http://underkg.co.kr/news/1547901
헌데 사람들이 원하는건 V20일텐데... 참 이러니 1000만대 넘게 판 플래그쉽이 없다 싶습니다.
덧글
그냥 갤럭시 엣지나 현재까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폰으로 넘어갈수가있겠지요..
(솔직히 폰을 바꾼다고할때 안드로이드 중에서는 딱히 대안으로 떠오른 폰이 없다는 것도 있고 )
아직 갤노트5는 쓸만해서 좀더 쓰다가 다시 안드로이드가 안정화되면 넘어갈생각입니다.
V20이 아닌 G5만 하는 군요.
정말 마케팅 전략 세우는 능력이 경이적입니다. 안티중의 안티군요.
북한당국 돈줄이라 하더군요. 중국산 중고폰 수입해 차익남기는 부분이 매우 쏠쏠하다합니다.
물론 차단/감청설비 하나는 끝내주게 되있을겁니다.
여기에 이걸로 인터넷 이용하는건 상당수 외국인이라 하더군요. 그러다보니 아이폰이 높습니다.
애플이 요즘 매출이 높은건 대기수요가 몰려서 그래요.(4S, 5와 5s, 6 사용자가 구매할 타이밍이 되서...)
문제는 영미권과 북유럽 러시아등 아이폰이 많은 나라들일겁니다. 그리고 이곳 판매량을 무시하기가 그렇습니다.
어차피 LG는 휴대폰을 많이 만들 능력도 안됩니다. G5초기 물량 대응 못한것 생각해 보시길..
중국브랜드들은 포지셔닝이 많이 다릅니다.
중국 내수 중심이기도 하고 또 중국내수에서 삼성이 의미있는 위치를 차지했던것도 아니고
구글 픽셀폰은 상당한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봅니다. 이를 납품하는 HTC도 마찬가지고..
픽셀은 구글이 직접 디자인한 폰이니 물량이 달리면 LG도 같이 생산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존심 어쩌구 할 처지가 아니니..
이러니 저러니해도 최대 반사이익은 애플이겠지요.
하지만..역시 아이폰7은 기존 안드로이드폰 유저를 끌어들이긴 좀 부족하다는 느낌입니다.
아이폰 프로가 5인치 후반 6인치 정도 크기에 펜을 달고 나온다면..
또한 삼성이 내년 초라도 S8을 적시에 투입한다면..
그나저나 삼성은 그만큼 갤S8에 신경을 써야겠지요. 이번에도 뭔가 시비가 생기면 정말 치명적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