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안드로이드와 크롬OS를 합친 안드로메다라는 OS를 내놓을거라고 합니다.
뭐 그동안 이러저런 조짐이 있었지요. 크롬 브라우저에서 돌아가는 안드로이드 앱이나 안드로이드의 멀티 윈도우 지원, 안드로이드의 마우스지원 등 준비는 꾸준히 있어왔습니다.
여기에 앞으로도 스마트폰의 HW성능이 꾸준히 올라갈테니 PC용 OS를 모바일에 돌리는 시대도 머지 않았겠지요. 그런차원에서 안드로메다의 등장은 이제 모바일이 아닌 PC도 넘보게된 구글의 방향을 볼수 있습니다. 당장이야 크롬북의 대체정도겠지만 향후에는 제대로된 데스크탑용 OS로 나오겠지요.
여하간 안드로메다가 어느정도 까지 잘 될지는 아직 모릅니다. 그래도 사용자들의 일반 PC에 깔릴 확률은 리눅스 보다 높을겁니다. 일단 안드로이드앱 개발을 그대로 물려받을 것은 확실하고 안드로이드 앱의 개발생태는 매우 충실하니까요.
여기에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개념을 안드로메다로 보내줬습니다.

그 개념을 안드로메다로 보내는데 크게 기여한 집단의 하나가 MS기도 합니다. PC와 모바일의 통합이라는 주제는 이쪽도 많이 추구했었으니까요. 물론 MS가 내놓은 윈도우폰은 말과 현실은 다르다는걸 너무 적나라 하게 보여줘서 무지막지한 손해만 냈지요.
근본적으로는 윈도우와 윈도우폰 새 버전이 나올때 마다 실버라이트니, 유니버셜앱이니 개발프레임웍을 갈아엎어 개발자들의 혼란을 부추긴 부분도 매우 대비됩니다. 쉽게 배울수 있는 개발환경은 중요할지 몰라도 근본적으로 밥벌이를 위해 달려들 고급개발자를 포섭하고 이들이 앱을 만들게 하려면 강력한 기능과 한번 배운것을 오래 써먹을수 있는 개발환경의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개념을 MS가 멋지게 반증해줬으니까요.
뭐 그동안 이러저런 조짐이 있었지요. 크롬 브라우저에서 돌아가는 안드로이드 앱이나 안드로이드의 멀티 윈도우 지원, 안드로이드의 마우스지원 등 준비는 꾸준히 있어왔습니다.
여기에 앞으로도 스마트폰의 HW성능이 꾸준히 올라갈테니 PC용 OS를 모바일에 돌리는 시대도 머지 않았겠지요. 그런차원에서 안드로메다의 등장은 이제 모바일이 아닌 PC도 넘보게된 구글의 방향을 볼수 있습니다. 당장이야 크롬북의 대체정도겠지만 향후에는 제대로된 데스크탑용 OS로 나오겠지요.
여하간 안드로메다가 어느정도 까지 잘 될지는 아직 모릅니다. 그래도 사용자들의 일반 PC에 깔릴 확률은 리눅스 보다 높을겁니다. 일단 안드로이드앱 개발을 그대로 물려받을 것은 확실하고 안드로이드 앱의 개발생태는 매우 충실하니까요.
여기에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개념을 안드로메다로 보내줬습니다.

그 개념을 안드로메다로 보내는데 크게 기여한 집단의 하나가 MS기도 합니다. PC와 모바일의 통합이라는 주제는 이쪽도 많이 추구했었으니까요. 물론 MS가 내놓은 윈도우폰은 말과 현실은 다르다는걸 너무 적나라 하게 보여줘서 무지막지한 손해만 냈지요.
근본적으로는 윈도우와 윈도우폰 새 버전이 나올때 마다 실버라이트니, 유니버셜앱이니 개발프레임웍을 갈아엎어 개발자들의 혼란을 부추긴 부분도 매우 대비됩니다. 쉽게 배울수 있는 개발환경은 중요할지 몰라도 근본적으로 밥벌이를 위해 달려들 고급개발자를 포섭하고 이들이 앱을 만들게 하려면 강력한 기능과 한번 배운것을 오래 써먹을수 있는 개발환경의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개념을 MS가 멋지게 반증해줬으니까요.
덧글
그 부분에서 안드로이드나 윈도우는 고민할 이유가 없지요.
물론 윈도우SW대신 안드로이드 Sw로 넘어갈 사람이 많을거라 보지는 않습니다. 안드로이드가 확산된 시간보다 더 오랜 시간과 투자를 필요하겠지요.
크롬, 구글독스, 유투브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윈도PC는 산업용 기기 취급하는 때가 임박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등장으로 UMPC와 넷북이 쪼그라든 부분을 보면요.
다만 지금도 PC가 살아남은영역인 컨텐츠 생산의 경우 잠식하기가 쉽지 않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