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inage.egloos.com

포토로그



MLC 메모리 10년 - 도로 아미타불 by 천하귀남

대략 2005년 부터 플래시 메모리에는 MLC상품이 늘어났습니다. 하나의 메모리 셀에 전하는 다 채우느냐 일부만 채우느냐로 여러 비트를 기록할수 있다는 방식입니다. 이러면 비슷한 물리적 메모리 용량으로 2배의 데이터 용량을 기록할수 있다하니 아주 경제적이라 할수 있지요.


문제는 이 메모리 셀 안의 전하가 시간이 지날수록 조금씩 샌다는 점이고 이로 인해 이 안의 데이터가 얼마를 나타내는지 양이 부정확해 진다는 문제입니다. 여기에 메모리 셀 자체의 수명도 짧습니다. 과거 SLC는 읽기 쓰기 10만번이던것이 MLC는 1만번 TLC는 1000번 최하등급 QLC는 수백번입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안정성이 중요한 장치에서는 쓰기횟수를 균등하게 해주고 써 놓은지 오래된 기록을 재갱신하는 복잡한 처리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 SW처리도 아주 완전한것은 아니라 말썽이 난 사례가 좀 되지요.



트랜센드, 고비용 SLC 대안 수퍼MLC 기술 개발

최근 새로운 기술이 나왔는데 핵심은 MLC셀을 SLC처럼 한 비트만 기록해 수명을 늘리고 안정성도 높인다고 하는군요. 뭐 그만큼 요즘 메모리 가격이 내렸으니 안 될 것 이야 없겠지요. 오히려 이런식으로 제품의 가치를 올리려는가 봅니다. 그래도 이렇게 라도 해서 데이터 안정성을 올린다면 사겠다는 사람이 많겠습니다.

특히 카메라등에 들어가는 SD메모리나 USB쪽으로 많이 보급 됬으면 합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런 활용은 도로 아미타불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





덧글

  • shyni 2016/01/07 13:19 # 답글

    사실 삼성이나 플렉스터등에서 이미 mlc영역을 slc로 일부 사용하는 기술을 쓴지는 꽤 됐습니다. 명칭은 다 다르지만요....
  • 천하귀남 2016/01/07 13:43 #

    찾아보니 삼성은 SSD에서 터보 라이터 라는 기술명으로 일부 저장공간을 그렇게 쓴다고 하는군요. 기왕이면 이걸 활용한 USB나 SD메모리도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통계 위젯 (화이트)

325361
2166
6544298

2019 대표이글루_IT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412

당부드리는 말

블로그 사진을 포함한 전체가 아닌 일부의 내용은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생각이 있다면 욕설과 과도한 비아냥은 자제를 부탁드립니다. 정도가 심하거나 비로그인의 글은 임의 삭제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A타입 클린 캠페인 위젯

방문자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