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amai 인터넷 현황 보고서의 2014년 1분기 자료가 나왔습니다. 한국이 인터넷 속도나 환경에서 세계 제일인 것은 여전하긴 합니다만 상세 데이터 에서는 아직도 더 빨라지는 중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과거 ADSL라이트나 3G스마트폰의 무선 속도 정도는 내주는 상황입니다. 이정도면 인터넷 웹페이지는 문제없이 볼수 있는 속도입니다. 전자 상거래나 전자행정등의 문서위주 서비스는 이제 어지간한 중진국 이상이면 문제가 없다고 보면 될것같습니다.

그런데 한국은 국가별 평균속도에서 작년대비 145%의 속도 증가가 있습니다. 다른나라의 평균 증가율과 비교가 안되는군요.

10Mbps 이상의 속도로 보면 한국의 증가율이 엄청납니다. 하지만 다음은 자료를 보면...

이론적으로 4K 영상의 스트리밍 전송이 가능할 15Mbps이상의 연간 증가속도는 272%!!! 이정도 속도면 광케이블 기반의 속도일텐데 엄청난 증가입니다. 한국 전체에서 대부분의 인터넷이 광랜으로 급속 교체중입니다. 2위 일본과 비교해도 두배의 차이가 나는군요.

참고로 미국의 데이터를 보면 15Mbps이상의 속도는 대략 25%전후의 가입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도시지역만으로 이러니 국가 전체로는 아직 멀었지요.

한국 인터넷이 빠르긴 하지만 경이를 넘어 끔찍할 지경이군요. 물론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한국의 인구밀도가 인구 2000만 이상인 나라들도 보면 세계 1위, 수도권은 1㎢당 15000명이라는 끔찍한 수준이라 적은 면적에 망설치를 해도 높은 효과를 볼수 있다는 점이 제일 크지 않나 합니다.
여하간 이걸 보면 한국은 4K를 굳이 전파로 방송하지 않더라도 인터넷망을 이용해 서비스 하는것도 현실적으로 가능하겠습니다. 이제 슬슬 비디오 카드들에 고압축 4K포멧의 HW디코딩능력이 들어갈 시기가 되가는 만큼 앞으로가 기대됩니다. 다만 반대로 보면 세계 인터넷 상황이 한국같지 않으니 전세계적으로는 4K 전송수단의 미비로 활성화가 쉽지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P.S
참고로 KT가 인터넷 종량제를 한다고 한다면 인구밀도가 1㎢당 2.6명인 호주가 월 30G정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1㎢당 500명인 한국은 더 적은 시설비로 서비스가 가능한데 종량제 기본용량을 얼마를 줘야 할까요? 테라급은 줘야하지 않나 합니다. 헌데 그러면 종량제 하나마나 아닐까요?
덧글
T : 털자
지금 휴대폰 음성통화 초당 1.5원이고
기가바이트 인터넷의 가격은 휴대폰 보다 저렴해야하니
10기가당 1.5 원이 적당하겠네요
기본요금 1만 원에 10 테라 기본제공
초과데이터는 10기가당 1.5원
어떤가요??
하지만 인프라 제공자 마인드는 후진국이니.
물론 KT말하는 대로 해줬다가는 엄청난 사건으로 번지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