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인터넷이 깔려있고 여기에 인터넷선이 직접 물려있는 경우에 한정해 쓸수있는 팁입니다.
일단 아래의 배치 파일을 받아 윈도우의 예약 실행 기능을 이용해 PC가 켜질때 마다 실행되게 합니다.
t.bat
이 배치 파일은 내 PC의 IP주소를 보여주는 ipconfig명령을 일자-시간의 제목을 가진 텍스트로 저장하는 배치명령어입니다.

실행후 폴더안에 IP정보가 기록된 텍스트 파일이 생깁니다.
그리고 이 폴더를 드롭박스나 유클라우등 자동백업 기능이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백업지정합니다.
드롭박스같이 스마트폰과 연동되 있다면 이걸통해 집밖에서 집 PC의 IP를 확인 가능합니다.
어느정도 인터넷관련 지식이 있는 분이 쉽게 활용할팁인데 퇴근시간이 다된고로 이만 줄입니다...
참고로 집안에 공유기등으로 IP가 변경된경우 1대에 외부에서 들어온 IP로 지정하는 기능이 있으니 활용하시면 됩니다.
이런 IP를 항상 고정된 도메인으로 바꾸는 DDNS라는 기능이 공유기에 있긴 합니다만 외산 공유기나 구형공유기에는 서비스 만료나 아예 그런기능이 없어 제대로 안될 때도 많아 기록삼아 남겨봅니다.
일단 아래의 배치 파일을 받아 윈도우의 예약 실행 기능을 이용해 PC가 켜질때 마다 실행되게 합니다.
t.bat
@echo off
setlocal
:: 시간 문자열을 시분초로 분리
set HOUR=%time:~0,2%
set MINUTE=%time:~3,2%
set SECOND=%time:~6,2%
ipconfig>>%date:~2%_%HOUR%%MINUTE%%SECOND%.txt
이 배치 파일은 내 PC의 IP주소를 보여주는 ipconfig명령을 일자-시간의 제목을 가진 텍스트로 저장하는 배치명령어입니다.

실행후 폴더안에 IP정보가 기록된 텍스트 파일이 생깁니다.
그리고 이 폴더를 드롭박스나 유클라우등 자동백업 기능이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백업지정합니다.
드롭박스같이 스마트폰과 연동되 있다면 이걸통해 집밖에서 집 PC의 IP를 확인 가능합니다.
어느정도 인터넷관련 지식이 있는 분이 쉽게 활용할팁인데 퇴근시간이 다된고로 이만 줄입니다...
참고로 집안에 공유기등으로 IP가 변경된경우 1대에 외부에서 들어온 IP로 지정하는 기능이 있으니 활용하시면 됩니다.
이런 IP를 항상 고정된 도메인으로 바꾸는 DDNS라는 기능이 공유기에 있긴 합니다만 외산 공유기나 구형공유기에는 서비스 만료나 아예 그런기능이 없어 제대로 안될 때도 많아 기록삼아 남겨봅니다.
덧글
그런데 혹시 CentOS등에서 cron으로 드롭박스에 보내기는 좀 힘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차라리 2시간마다 SMTP를 이용하여 메일을 보낸다면 모를까요)
비트 싱크라면 리눅스 버전도 있을듯 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