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보급이 늘어나면서 집에 무선 공유기를 설치하는 분도 늘고 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장사꾼 말에 혹해 필요도 없이 비싼 모델을 고르는 경우들이 좀 되어 보이길래 몇 자 적어볼까 합니다.
일단 제가 권하는건 기본적인 안테나 1개 짜리 모델입니다. 참고로 이런건 15000원 아래로도 많은 모델이 있습니다.

일단 이 모델을 기본으로 하고 자신에게 어떤 예외적인 상황이 있는가를 보면서 공유기 단계를 올리시기를 권하겠습니다. 일단 검토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집에 들어오는 유선인터넷 속도는?
100Mbps가 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을겁니다. 이럴경우 공유기가 아무리 빠르다고 한들 집에서 외부 인터넷의 사용속도는 100Mbps이하입니다. 안테나 2개 300Mbps니 기가비트 이더넷이니 해봐야 이건 집안의 기기간에 나올 속도이지 외부 인터넷속도를 늘려주지는 않습니다.
2. 집에서 공유기를 사용할 위치는?
혼자 사는 사람의 경우나 부모님이 PC사용을 잘 안하는 경우 자기방에만 있으면 되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혹은 원룸거주등도 있겠지요. 이 경우 안테나 2개의 250m사용 범위 같은건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물론 가족전체가 여러개의 방에서 쓰는경우는 좀 복잡하긴 한데 이건 잘아는 사람에게 문의해볼 필요가 있기는 합니다. 무조건 안테나 많고 속도 빠른것으로는 해결 안될수도 있습니다.
3. 가급적 유선랜으로 연결할수 있는가?
노트북이나 PC라면 될수있는한 유선랜으로 연결하는것이 좋습니다. 100Mbps광랜을 깔았다고 해도 이걸 무선랜을 거치는 경우 속도는 많이 하락하니까요. 유선랜은 거의 손실없는 속도를 보장해 줍니다.
4. 공유기를 이용할 무선 장비의 안테나 수는?
의외로 많이 간과되는것이 스마트폰의 WiFi안테나는 1개인 경우가 많습니다. 안테나가 1개인경우 최대 150Mbps의 속도를 최대 50m정도의 범위 안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실상 같은 방안에서나 최대속도라 보면 됩니다. 물론 노트북은 안테나가 2개 이상 태블릿은 올해나온 모델은 2개겠지만 저가 모델이나 전년도 모델은 안테나 1개로 속도보장이 안됩니다. 안테나 2개이상의 공유기를 굳이 써야할 필요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공유기와 무선랜 기기의 안테나 갯수가 같아야 스펙의 최대속도와 최대사용거리가 나옵니다. 여기에 사실상 안테나 3개를 모두사용하는 450Mbps공유기도 거의 없습니다. 안테나는 많아야 2개면 떡을 칩니다.
5. 공유기를 통해 장비끼리 연결할 필요가 많은가?
집안에서 장비끼리 연결해 파일을 주고 받는다던가 하는경우가 필요하면 나름 빠른 인터넷 속도가 필요할겁니다.만... 이럴 필요가 별로 없기도 합니다.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은 USB로 연결하는게 훨씬 빠릅니다. USB 2.0이래도 480 Mbps이니 무선랜이나 유선랜의 속도보다 빠른게 보통이지요. 물론 기가비트 이더넷이 있는 PC간의 유선연결은 모르지만 이것도 자주 쓰는지와 비싸지는 공유기 가격등을 저울질 하실 필요는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여기서도 하나 주의사항이 구형 노트북이나 넷북은 안에 들어있는 HDD속도가 기가비트 이더넷 속도에는 못미칠수 있습니다. 이러면 비싼돈 들여 기가비트 이더넷 공유기를 들일 이유는 없지요.
6. 기존 공유기를 꼭 바꿔야 하는가?
폰을 교체했더니 무선랜 연결이 잘 안된다던가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공유기 교체보다 펌웨어등의 업그레이드가 우선입니다. 위에서 말한 이러저런 이유로 공유기를 바꾼다고 별 신통한 효과가 없을때가 많습니다. 참고로 흔히 ipTIME 메이커를 권장하는 경우가 많은것이 여기가 비교적 펌웨어의 장기지원이 잘됩니다. 외산메이커는 장담 못할 때가 좀 됩니다.
7. 5G무선랜이 별 효과가 없다?
5G대역이 혼선이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건 지하철역등 다양한 회사들의 공유기가 난무할때는 몰라도 집안에서 제한된 사용자와 장비들을 쓸때는 그렇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집안에 공유기가 두개라도 그 두개의 주파수 채널을 다르게 하는 간단한 셋팅으로 해결가능하기도 합니다. 최소한 내방안에서 나혼자 쓰는경우는 둘간에 별 차이가 없습니다. 집 외부의 영향은 벽을 통과하면서 감쇠되고 역시 무선랜 채널 변경으로 얼마든지 회피 가능합니다.
8. 미리 좋은 스펙 살 필요 없다?
대략 6개월이나 1년 주기로 새로운 공유기들이 더 낮은 가격과 좋아진 기능으로 쏟아져 나옵니다. 당장 쓰지도 않을 스펙이면 미리 구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약간 높은 사양을 알아 두는 것도 좋습니다. 지금 802.11ac지원하는 갤럭시4를 가지고 있다 해도 일단 중저가 공유기로 어느정도 버틴뒤 바뀐규격의 새로운 공유기들이 대량생산으로 가격이 합리적으로 나온다면 그때 구입해도 좋을겁니다. 지금은 한두모델 뿐이라 가격이 상당히 세지요.
일단 대략적으로 이정도로 하겠습니다. 제경우 집에 들어오는 인터넷을 한달에 5000원이라도 줄이자고 50Mbps로 신청했고 집안에서 노트북과 데탑간 파일복사는 좀 느려도 그냥 100M유선으로도 버틸만 하더군요. 물론 좀 더 빠른 속도로 많은 파일을 복사하자면 USB 3.0메모리로 해결중입니다. 넥서스4 스마트폰은 정확히는 모르지만 다른곳의 속도등으로 유추하면 안테나 1개인 걸로 아는데 150Mbps이상의 속도는 내지 못한다 보면 공유기는 아직도 안테나 1개짜리로 충분하더군요. (무선으로 스마트폰에 파일전송시 1초에 7MByte/s정도 나옴)
자신의 장비와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본다면 어느정도 선의 무선공유기가 맞는지 감이 올겁니다. 대부분 기본 공유기로도 크게 불만없이 사용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P.S
별개로 서버를 운영 한다 거나 집 전체 여러 방들을 위한 무선랜 구축 등의 복잡한 사항의 경우 위의 일반적인 공유기로는 적합하지 않을 때도 많습니다. 공유기에는 의외도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이 많기도 하니 특정 용도를 생각하시는 것이 있다면 더 강력한 기능을 가진 공유기가 필요 한 것도 사실입니다. 다만 잡지나 인터넷에서 어러가지를 알아보시리 필요는 더욱 늘어나겠지요.
일단 제가 권하는건 기본적인 안테나 1개 짜리 모델입니다. 참고로 이런건 15000원 아래로도 많은 모델이 있습니다.

일단 이 모델을 기본으로 하고 자신에게 어떤 예외적인 상황이 있는가를 보면서 공유기 단계를 올리시기를 권하겠습니다. 일단 검토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집에 들어오는 유선인터넷 속도는?
100Mbps가 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을겁니다. 이럴경우 공유기가 아무리 빠르다고 한들 집에서 외부 인터넷의 사용속도는 100Mbps이하입니다. 안테나 2개 300Mbps니 기가비트 이더넷이니 해봐야 이건 집안의 기기간에 나올 속도이지 외부 인터넷속도를 늘려주지는 않습니다.
2. 집에서 공유기를 사용할 위치는?
혼자 사는 사람의 경우나 부모님이 PC사용을 잘 안하는 경우 자기방에만 있으면 되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혹은 원룸거주등도 있겠지요. 이 경우 안테나 2개의 250m사용 범위 같은건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물론 가족전체가 여러개의 방에서 쓰는경우는 좀 복잡하긴 한데 이건 잘아는 사람에게 문의해볼 필요가 있기는 합니다. 무조건 안테나 많고 속도 빠른것으로는 해결 안될수도 있습니다.
3. 가급적 유선랜으로 연결할수 있는가?
노트북이나 PC라면 될수있는한 유선랜으로 연결하는것이 좋습니다. 100Mbps광랜을 깔았다고 해도 이걸 무선랜을 거치는 경우 속도는 많이 하락하니까요. 유선랜은 거의 손실없는 속도를 보장해 줍니다.
4. 공유기를 이용할 무선 장비의 안테나 수는?
의외로 많이 간과되는것이 스마트폰의 WiFi안테나는 1개인 경우가 많습니다. 안테나가 1개인경우 최대 150Mbps의 속도를 최대 50m정도의 범위 안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실상 같은 방안에서나 최대속도라 보면 됩니다. 물론 노트북은 안테나가 2개 이상 태블릿은 올해나온 모델은 2개겠지만 저가 모델이나 전년도 모델은 안테나 1개로 속도보장이 안됩니다. 안테나 2개이상의 공유기를 굳이 써야할 필요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공유기와 무선랜 기기의 안테나 갯수가 같아야 스펙의 최대속도와 최대사용거리가 나옵니다. 여기에 사실상 안테나 3개를 모두사용하는 450Mbps공유기도 거의 없습니다. 안테나는 많아야 2개면 떡을 칩니다.
5. 공유기를 통해 장비끼리 연결할 필요가 많은가?
집안에서 장비끼리 연결해 파일을 주고 받는다던가 하는경우가 필요하면 나름 빠른 인터넷 속도가 필요할겁니다.만... 이럴 필요가 별로 없기도 합니다.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은 USB로 연결하는게 훨씬 빠릅니다. USB 2.0이래도 480 Mbps이니 무선랜이나 유선랜의 속도보다 빠른게 보통이지요. 물론 기가비트 이더넷이 있는 PC간의 유선연결은 모르지만 이것도 자주 쓰는지와 비싸지는 공유기 가격등을 저울질 하실 필요는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여기서도 하나 주의사항이 구형 노트북이나 넷북은 안에 들어있는 HDD속도가 기가비트 이더넷 속도에는 못미칠수 있습니다. 이러면 비싼돈 들여 기가비트 이더넷 공유기를 들일 이유는 없지요.
6. 기존 공유기를 꼭 바꿔야 하는가?
폰을 교체했더니 무선랜 연결이 잘 안된다던가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공유기 교체보다 펌웨어등의 업그레이드가 우선입니다. 위에서 말한 이러저런 이유로 공유기를 바꾼다고 별 신통한 효과가 없을때가 많습니다. 참고로 흔히 ipTIME 메이커를 권장하는 경우가 많은것이 여기가 비교적 펌웨어의 장기지원이 잘됩니다. 외산메이커는 장담 못할 때가 좀 됩니다.
7. 5G무선랜이 별 효과가 없다?
5G대역이 혼선이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건 지하철역등 다양한 회사들의 공유기가 난무할때는 몰라도 집안에서 제한된 사용자와 장비들을 쓸때는 그렇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집안에 공유기가 두개라도 그 두개의 주파수 채널을 다르게 하는 간단한 셋팅으로 해결가능하기도 합니다. 최소한 내방안에서 나혼자 쓰는경우는 둘간에 별 차이가 없습니다. 집 외부의 영향은 벽을 통과하면서 감쇠되고 역시 무선랜 채널 변경으로 얼마든지 회피 가능합니다.
8. 미리 좋은 스펙 살 필요 없다?
대략 6개월이나 1년 주기로 새로운 공유기들이 더 낮은 가격과 좋아진 기능으로 쏟아져 나옵니다. 당장 쓰지도 않을 스펙이면 미리 구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약간 높은 사양을 알아 두는 것도 좋습니다. 지금 802.11ac지원하는 갤럭시4를 가지고 있다 해도 일단 중저가 공유기로 어느정도 버틴뒤 바뀐규격의 새로운 공유기들이 대량생산으로 가격이 합리적으로 나온다면 그때 구입해도 좋을겁니다. 지금은 한두모델 뿐이라 가격이 상당히 세지요.
일단 대략적으로 이정도로 하겠습니다. 제경우 집에 들어오는 인터넷을 한달에 5000원이라도 줄이자고 50Mbps로 신청했고 집안에서 노트북과 데탑간 파일복사는 좀 느려도 그냥 100M유선으로도 버틸만 하더군요. 물론 좀 더 빠른 속도로 많은 파일을 복사하자면 USB 3.0메모리로 해결중입니다. 넥서스4 스마트폰은 정확히는 모르지만 다른곳의 속도등으로 유추하면 안테나 1개인 걸로 아는데 150Mbps이상의 속도는 내지 못한다 보면 공유기는 아직도 안테나 1개짜리로 충분하더군요. (무선으로 스마트폰에 파일전송시 1초에 7MByte/s정도 나옴)
자신의 장비와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본다면 어느정도 선의 무선공유기가 맞는지 감이 올겁니다. 대부분 기본 공유기로도 크게 불만없이 사용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P.S
별개로 서버를 운영 한다 거나 집 전체 여러 방들을 위한 무선랜 구축 등의 복잡한 사항의 경우 위의 일반적인 공유기로는 적합하지 않을 때도 많습니다. 공유기에는 의외도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이 많기도 하니 특정 용도를 생각하시는 것이 있다면 더 강력한 기능을 가진 공유기가 필요 한 것도 사실입니다. 다만 잡지나 인터넷에서 어러가지를 알아보시리 필요는 더욱 늘어나겠지요.
덧글
무선키보드랑 무선마우스 대역이 2g랑 겹쳐서, 파일 다운 받는 중에는 마우스랑 키보드가 뚝뚝 끊기는 통에..
다만 제 경우도 로지텍의 2.4G대 무선마우스와 키보드이긴 합니다만 혼선등은 격지 않았습니다.
웹하드 사이트 같은 데서 영화나 드라마 같은거 고속 다운로드 받을 때가 문제죠.. 전 자주 받거든요.
개중에서도 특히 아파트가 좀 심각한 편인데 원룸이나 주택과는 다르게 벽 하나때문에 수신율이 확 떨어지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제 경우 거리가 좀 떨어지긴해도 벽으로 막히지않은 거실에서는 신호가 안정적으로 잡히는 반면 거리가 가까움에도 벽으로 막힌 방의 경우 신호는 잘 잡히는데 끊김 현상이 심각해서 남는 공유기 하나를 무선 브릿지로 설치한 상태. 의외로 벽 하나만으로 수신율이 확 떨어지는지라 이런 경우 방보다는 거실에 공유기를 놓는게 가장 좋습니다. 정 방안에서 써야겠다 싶으면 무선브릿지를 쓸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