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부터 간단한 정보나 회사기밀사항이라 구글등에 적어놓지 못할정보는 다이어리 웹페이지를 만들어 제 기준에 맞는 포멧으로 신속하게 기록해 왔는데 스마트폰에서 이 기능을 써오다 보니 아무래도 인터넷이 끊겼을때 불편하더군요. 이 문제로 평소에 관심두던 하이브리드 앱 개발툴인 폰갭을 이용해 간편하게 새로 만들었습니다.


기능은 기존 모바일웹과 거의 비슷하지만 이제 아무때나 실행이 가능하고 임시저장과 내용보기도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앱버전은 최대한 간단한 기능이라 메모써넣고 누르면 저장되고 삭제기능이 있을 뿐입니다. 분류, 키워드, 연관도검색은 웹으로 따로 구현되 있습니다.
폰갭으로 개발한다고 해도 내부에서는 웹페이지 그것도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웍으로 모바일 제이쿼리라서 기존 소스가 거의 그대로 옮겨지더군요. 물론 모바일 웹과 달리 하나의 독립된 앱이라 변경해야 할것도 있고 추가할만한 요소도 있습니다. 옮기면서 연결이 끊겨있으면 저장되있던 기존 리스트를 다시 불러오도록 수정했습니다. 향후에 임시저장 하는 기능 대신 오프라인 저장후 동기화로 기능을 좀 고치긴 해야겠습니다.


폰갭 2.2.0의 자료가 별로 없어서 이전과 달라진 초기설정등을 하는데 좀 헤메긴 했습니다. 도서관에서 대충 책을 빌려다 봤는데 안드로이드 앱의 권한설정을 모두 다 걸라고만 해놓고 건너 뛰더군요. 다지우고 이 앱에서는 인터넷, GPS, 네트웍 연결확인 정도의 권한으로 줄여놨습니다. 그래도 초기설정 끝나니 이후는 정말 쉽더군요. 특히 이 기능의 모바일 웹이 있는상황이라 오류가 나도 둘을 비교하면 어느쪽 문제인지 확실히 알기 편했습니다.
참고로 과거에 잠시 깔고 사용한 앱스프레소 보다 이 폰갭쪽이 디버깅이나 실행속도나 여러면에서 편하더군요. 기능 복잡한것 없는 간단한 앱은 이걸로 만들어도 충분할듯합니다.
속도가 느리기는 합니다. 앱 뜨는데 처음에는 한 8~9초쯤 걸리는군요. 하지만 제가 쓰는 기종이 넥서스원이라 원체 구닥다리니 그런것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만들고 싶은 앱도 몇가지 있으니 시간나는대로 조금씩 도전해 봐야겠습니다.
덧글
저때와는 달리 요즘은 데이터 비용이 내려가 항시 온라인연결이 기본이니 폰갭으로 오프라인 사용가능한 앱을 따로 안만들고 그냥 HTML웹으로 사이트를 만들어 웹브라우저로 바로 이용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