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inage.egloos.com

포토로그



KT 왜 저러나 - 망중립보다 자사이득이 우선? by 천하귀남

아무리 자본주의 사회라지만 망에걸리는 트래픽의 이유로 VOIP사용을 막다니 웃기는 일이군요. 데이터 패킷이 인터넷이용인지 음성이용인지 구분해 차단한다는게 말이 되는걸까요? 그런짓 보다 KT망 이용하는 인터넷 불법콘텐츠나 차단하시기를 권합니다.

애시당초 망이 딸리면 무제한을 하지를 말고 종량제 유지하던가요. SKT무제한에 망확충도 안하고 따라서 흉내내더니 이제 저따위 추태를 보이는지 모르겠습니다.

여기다 종량제 사용중인 45000원 요금제 사용자에게 VOIP사용금지? 이건 망부하 때문이 아니라 돈더 울궈내겠다는 반증입니다.

더군다나 완전 경쟁하 통신시장이면 말이나 안합니다. 사실상 SKT와 KT양강의 과점상황에 어디 다른 대체 수단도 없는 사용자들이고 휴대폰 약정에 묶여있는 노예신세 랍시고 아주 사람 우습게 보는군요.

이석채 회장이
http://www.dt.co.kr/contents.htm?article_no=2010120702010431742005

앞으로 텔레비전도 유선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아무리 써도 아무런 대가가 없다고 할 때 비즈니스 모델은 성립하지 않는다"며 "미래에는 통신도 전력과 같은 요금체제로 가지 않으면 안 된다

라고 하셧는데 뭐 그러려면 송배전망이 국유화 되듯이 KT도 도로 국유화 해야겠군요. 휴대폰 약정도 폐지하고 화이트리스트도 폐지해서 마음에 안들면 다른 통신사 쓰게 하고서나 그딴소리를 해도 해야지요.

이러저런 정부의 수익보장조치뒤에 숨어서 저딴소리나 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아닌게 아니라 기사 뒤에도 방통위 최시중 위원장의 업적을 칭송하셧다지요?


P.S
오늘 진저브레드 발표를 보니 구글이 VOIP지원 프로토콜도 내장시켰는데 이건 어쩌실라우?
과거처럼 무선인터넷 트래픽발생한다고 국내 발매 휴대폰에서 무선랜 빼듯이 
새로나온 넥서스S에서 저기능 빼고 출시시킬건가요?
SKT던 KT던 그런 뻘짓을 할지도 모르니 기대해 봅니다.


망중립성 보장이라는게 이렇게 어려운건지 모르겠습니다. 
통신사의 매출구조에서 데이터 매출이 음성과 비슷하거나 추월한건 우리도 현실입니다.
어짜피 추세를 보면 음성이 아니라 모든걸 데이터로 계산해 용량단위 과금하는건 추세가 될듯한데요.

이러다 워키토키처럼 음성을 압축해 ZIP 데이터로 보낸뒤 비슷한 형식으로 받아 들려주는걸 자동화한 형태의 앱이 나오면 이것도 VOIP랍시고 차단할까요?

그냥 데이터 요금제 안에서는 뭐를 쓰던 신경 끄기를 바랍니다. 
여기에 현실적으로 무제한 용량이라도 종량제 트래픽제한은 걸리게 되있습니다. 망의 속도가 무한대가 아니니까요.
음성분야 매출유지하겠다고 저렇게 해봐야 침몰하는 배에서 바가지로 물퍼내는 걸로만 보입니다.


  



덧글

  • 무휼 2010/12/07 12:30 # 답글

    VoIP기능 넣었는데 무시하고 빠진 경우를 넣으라면 오렌지/보다폰의 노키아 N95 VoIP 기능 삭제하고 출시한 전례가있죠?

    AT&T와 T모바일도 비슷한 전례가있습니다

    모두 망중립성 법제화 되기이전에 실존했던 사례에요
  • 무휼 2010/12/07 12:33 #

    휴대폰에 VoIP기능이 있느냐없느냐는 제조사의 영역이고

    해당기능을 지원하느냐 마느냐는 통신사의 재량이죠

    브랜디드 폰의 경우엔 자체적으로 지원하더라도 빠진사례가 존재합니다-_-;

    뭐 나온그대로 통신사에서 파는게 아닌 폰을 사더라도 설정해서 사용이 불가능한일도 존재했음
  • 천하귀남 2010/12/07 12:36 #

    그렇다고 욕안먹을 일은 아니지요. 기업이 이윤추구를 할 자유가 있다면 저도 욕할 자유는 있습니다.
    더군다나 국내에서 VOIP도 법률로 금지된건 아닙니다.

    망중립성은 기본권의 개념이고 법제화 이전에도 보호받아야 한다고 봅니다.
    인권보장이 법제화 안되있으면 보장안해도 되나요?
  • 무휼 2010/12/07 12:36 #

    그리고 계속 SKT언급하시는데 SKT mVoIP는 요금제에 따라 막힌게 애저녁이에요 아에 막았다가

    55요금제이상에 한해서 용량제한으로 지원하고있습니다

    그게 2010년 7월일이에요

    국내에서 법률로 금지되지않았다라는말은 법률로 사용할수있게 해야한다라는 말도 없어요

    뭐 욕하는거야 자유긴한데 꼴갑한다 소리들을 정도로 한국 통신사만 유별난게 아니란 소리임
  • 천하귀남 2010/12/07 12:42 #

    법제화가 된이유는 망중립성에 보편적인 가치가 있기에 된것입니다.
    보편적 가치를 무시하고 통신사의 이득을 더군다나 기존에 많은 이익보장조치가 있는데 우월한 통신사업자의 위치를 이용해 저런 행위를하는건 좋지 않다고 봅니다.
  • 무휼 2010/12/07 12:44 #

    보편적가치라는게 강제할수없고

    SKT는 원래 막고 있었는데

    왜 KT만 욕을먹지? 가 제 생각입니다
  • 천하귀남 2010/12/07 12:50 #

    SKT도 욕먹을한 합니다.
    그러나 여기는 줬다 뺏은건 아니니 KT보다는 덜하지요.
  • 키치너 2010/12/07 15:22 # 답글

    그런데 사람들이 KT를 욕하면서 허용을 하다가 왜 갑자기 막냐는 건데, 사실 KT에서는 mVOIP를 공식적으로 모든 요금제에서 사용금지하고 있었죠. (http://smartblog.show.co.kr/401) 지금까지는 기술적으로 차단을 안한 것 뿐인데, 이걸 보고 줬다 뺐었다 라고 하는 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지금 사실 KT가 비난받는 이유는 SK는 스마트폰이 안드로이드와 윈도 모바일이 주력이었는 데, 두 OS에서는 유저들이 대중적으로 이용하는 mVOIP 앱 자체가 없어서 일찍이 막았어도 원래 쓰던 사람들이 없으니 비난을 안 들은 거죠. 대신 KT의 주력 스마트폰인 아이폰은 스카이프가 상당히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기 때문에 비난을 받는 거고 말이죠.

    사실상 이번 차단 조치 이전의 사용이 공식적인 "약관 위반"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사람들의 KT에 대한 비난은 감정적으로는 이해할 수 있어도 논리적으로는 옹호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 천하귀남 2010/12/07 15:35 #

    전 특정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을 이유로 차단하는것 자체를 반대합니다.
    그냥 용량제한내에서는 어떤 서비스던 이용가능하게 해주면 좋겠습니다.

    VOIP가 약관위반이라 했는데 그 약관자체가 문제있다고 봅니다.

    VOIP든 게임데이터던 무슨 차이가 있다고 방이용료 과금인지 의문입니다. 과거 구리줄 전화선의 법을 광통신 데이터 패킷에 적용해서는 안됩니다. 저 논리가 통한다면 인터넷 게임업체들도 망이용료를 내야하는걸까요?

    아니 온라인 게임중 음성대화 지원하는곳도 있는걸로 아는데 여기도 VOIP니 과금하라 해야 하나요? MSN메신저도 이기능 되고 있습니다.
  • 천하귀남 2010/12/07 15:36 #

    KT의 VOIP논란의 다른 살펴볼점은 KT가 말하는 트래픽가중의 원인은 VOIP가 아니라 KT가 주파수도 없이 오픈한 무제한 요금제 서비스에 대한 비판이기도 합니다.
  • 천하귀남 2010/12/07 15:40 #

    이 패킷이 데이터인지 음성인지 영상인지 알아내는것도 문제입니다. 그건 사실상 도청입니다.
    더군다나 오만가지 다양한 프로그램이 별의별 데이터를 내놓는데 이걸 뭘로 구분할까요?

    트래픽 핑계를 댈거라면 해당유저의 이용량 범위 내에서는 무슨 서비스를 이용하던 불법이 아니면 막을수 없는게 당연한 원칙입니다.
  • 무휼 2010/12/07 15:47 #

    스카이프는 다른 모든 모바일기기를 지원합니다.. 심지어 심비안용 스카이프도 있을정도-_-;

    그외에도 프링같은 류의 VoIP어플들이있었죠=_=;; SK에서는 옛날부터 쭉 막아놓고잇었어요;

    그리고 천하귀남님 VoIP에 대해서 좀 알아보시면 도청이나 감청 필요없다는걸 알수있을겁니다

    프로토콜 차이로도 그냥 잡아 낼수있는거임 프로토콜을 바꾼다쳐도 해당 업체 IP/포트만 막아버려도 끝인 문제인데

    도청이나 감청 끌어오는건 무리수요
  • 천하귀남 2010/12/07 15:50 #

    P2P 기반으로 돌아가는 음성대화나 화상대화도 많습니다. 이런 앱만들어 뿌리면 이것도 트래픽 이유로 차단할건가요?
  • 키치너 2010/12/07 15:51 #

    그런데 사실상 한국에서 3g망에서의 mVOIP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데이터 요금제가 저렴해지기 시작했을 무렵이고, 올해 2월 즈음에서는 아예 스카이프에서 윈모 지원을 끊으면서 사실상 SKT 이용자 중 SKT가 mVOIP 제한을 걸기 시작한 시점에 스카이프 이용자는 거의 없었을 겁니다. 이용자가 없으니 비난하는 사람도 없고, 비난하는 사람도 없으니 이슈화도 안되고 뭐 그런거죠.
  • 무휼 2010/12/07 15:53 #

    계속 천하귀남님 말이 좀 겉도시는거 같은데요

    어떤 방식으로 하든간에 감청이나 도청까지 끌어넣는건 무리수라는걸 말해드리는겁니다

    p2p방식이라면 결국 중앙서버가 있어야 할건데 중앙서버를 막아버리면 될일이고

    순수한 p2p방식이면 사용포트를 막아버리면 될문제이죠 그리고 그런 p2p라면 상대방의 ip를 알아야할건데 실용도가 바닥까지 떨어지는데

    그것까진 막을 필요가 없죠-_-;;
  • 천하귀남 2010/12/07 15:56 #

    제가 제일 무서운건 트래픽을 이유로 VOIP를 차단한다면 다른 서비스역시 마찬가지로 차단 가능하다는 논리로 악용할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망 중립성 이야기는 그래서 나오는겁니다.
  • 천하귀남 2010/12/07 16:07 #

    나라면 메일이나 문자 메세지로 포트 번호 날려서 그걸 클릭시 접속하게 하는 식으로 짜겠습니다.
    그럼 이걸 중국공안이 사상검열하듯 저 메세지를 차단할까요?

    결론은 하나입니다. 날아가는 패킷을 막지는 말라는겁니다. 데이터 용량이야 계약했으니 그렇다 하지만 무제한 서비스트래픽운운하면서 특정 서비스를 막는건 안된다고 봅니다.
  • 무휼 2010/12/07 16:26 #

    그렇게까지 하면 실용도가 떨어진다니까요-_-;

    어떻게든 망중립성에 대한 필요성을 성토하고 싶으신거같은데 이부분은 통신사의 수입인 음성통화부분과

    겹치기때문에 밥그릇싸움으로 갈수밖에 없어요
  • 천하귀남 2010/12/07 16:31 #

    실용도가 떨어질지 아닐지는 모르지요. VOIP막는다면 못쓸것도 아닙니다.
    생각해보니 저런 데이터를 카카오톡이나 SNS이용해 교환해도 되겠군요.
    결론은 저걸로 트래픽폭증을 막는건 쉽지도 않습니다. 그저 사용자들 불편하게만 할뿐입니다.

    밥그릇 싸움이라 했는데 그저 SKT나 KT가 밥그릇 지키려고 날뛰는 걸로만 보입니다.
  • 난나야 2010/12/08 11:02 #

    패킷을 까보는거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는 걸로 아는데요...어디까지 까보는게 정당한 영역 그러니까 합법적인 건가 하는 거겠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망 내에서 패킷의 전달을 위한 필수 헤더, 그러니깐 IP 헤더 이상을 들여다 보는 것은 불법일 여지가 많다는 겁니다. 패킷은 결국 사용자가 만들어낸 데이터를 전달하는 상자이고 그 상자를 배달하기 위한 주소가 적혀있는게 IP주소니 그 이상을 들여다 보는 것은 결국 박스까서 속에 뭐가 들어있나 보는 거 하고 동일하다는 생각입니다. 이건 엄연히 불법이죠..물론 예외적인 부분은 없을 수가 없겠지만(보안의 측면 등등) 기본적인 전제는 저것을 깔고 얘기 해야 하는데 통신사에서는 저런건 그냥 생까버리는 듯한 입장이라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네요..저런식으로 막기 시작하면 어플입장에서 우회 수단을 강구할 거고 그럼 통신사는 그거 알아내기 위해 결국 헤더가 아닌 페이로드까지 까볼려고 들건데 그렇게 되면 진짜 문제는 심각해질 거라 생각해요...(실제로 와이브로 같은 경우에도 ASNGW가 이미 DPI를 지원하고 있으니 이미 기술적으로는 얼마든지 가능한 상황이구요...)
  • AirCon 2010/12/08 11:36 #

    근데 솔직히 TCP 헤더만 까봐도 목적지 주소하고 포트만 알면 페이로드야 안까봐도 블루레이죠.

    게다가, 요새 나오는 어지간한 네트웍 장비들(L7 웹가속기나 프록시 서버같은거...) 다 페이로드 까보는걸 전제로 작동하는건데, 이건 어떻게 되나요? 웹방화벽이야 보안을 예외로 두셨으니 글타 치지만, 나머진 설명이 어렵네요.

    물론 페이로드 까보는건 코스트 대비 효과가 별로라 통신사들 입장에서도 반기진 않겠지만, 언젠가 개선이 되면 패킷 까보는 것도 뎀비긴 할텐데, 이게 무조건 내 패킷 까는건 안됨, 이라고 접근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인정보의 측면에서 이슈가 있다는 점은 당연히 이슈 제기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만)
  • 천하귀남 2010/12/08 11:59 #

    본문에 해당하는 영역을 까보는것도 문제겠지만 이건 약간의 암호화만 걸려도 업체측 부담이 폭증할테니 대응수단이 없는건 아니겠지요.
  • 난나야 2010/12/08 17:23 # 답글

    지금 페이로드 까보는 네트웍 장비들이 과연 저런 부분에 대한 법리 검토가 선행되고 문제없다고 판단되서 서비스할 지는 솔직히 의문이네요..이런 부분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어서요 ㅡ.ㅡ 다만 이 이슈와 조금 차이가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게 저런 장비들을 사용하는 쪽은 서비스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거니...저런걸 달면 이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체감이 좋아진다라는 전제, 즉 사용자의 이익이 증가한다라는 건데, 요번 건은 사용자의 이익과는 전혀 별개의 문제가 되니...제가 말하고 싶은건 기본적인 프라이버시 측면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만 완전히 반영되는 이런 조치가 과연 정당한가를 얘기하고 싶은 겁니다. 이러한 부분이 고려되지 않았었으니 이제라도 공론화해서 양쪽이 다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기준이 정해지고 이런 부분들이 법적인 형태로 강제화되고 난 뒤에야 이런 조치에 대한 정당성이생기지 않을까 해요..기술의 발전을 같이 따라갈 정도로 법적인 측면이나 사회적인 합의가 빨리빨리 진행되기는 어렵겠지만 그렇다고 무시해선 절대 안되는 부분이라는 거죠..
  • 천하귀남 2010/12/08 17:52 #

    그부분은 걱정 안해도 될겁니다. 패킷을 열어서 헤더정보등을 보는건 가능하지만 본문정보를 보는건 불법입니다.
    사회적 합의로는 못봅니다. 영장이 있어야 보는것이고 불법범죄행위에 이용될 개연성을 인정 못받으면 발급 못받습니다.

    통신사 약관위반을 알기위해 영장은 안나옵니다.

  • 천하귀남 2010/12/08 17:53 #

    여기에 이미 시중에 간단한 암호화등을 해주는 프로그램모듈은 흔하니 이런것만 적용해도 VOIP차단용 시스템 구성하는 비용을 엄청나게늘려서 현실적으로 못쓰게 할수 있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통계 위젯 (화이트)

35270
2264
6547245

2019 대표이글루_IT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화이트)

412

당부드리는 말

블로그 사진을 포함한 전체가 아닌 일부의 내용은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생각이 있다면 욕설과 과도한 비아냥은 자제를 부탁드립니다. 정도가 심하거나 비로그인의 글은 임의 삭제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A타입 클린 캠페인 위젯

방문자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