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을 지나다가 SATA케이블중 암-수 형태의 연장케이블을 발견했습니다. 얼마전에 자작해서 사용하기는 했는데 이때는 없었는데 극히 최근에 들여 놨다고 하더군요. 기존 자작품은 너무 길어서 책상위에서 걸려 빠질 위험이 있는데 이걸 쓰면 해결될듯 했습니다.
길이는 일반적인 60Cm수준입니다.

암 - 수의 형태이기 때문에 원래 연장케이블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들여놓은 업체 사장님도 노트북에 일반 HDD를 연결하는 용도나 eSATA를 빼고 직접 하드와 연결할 용도로 들여놨다고 하시더군요.


이번에는 플라스틱 포맥스판을 잘라서 가이드를 만들려고 했는데 커넥터위치가 아주 정밀해야 해서 제대로 만들기가 힘들더군요. 그래서 가이드는 포기했습니다.

대신 노트북의 움직임에 빠지는걸 막기위해 나무 집게로 집어 놨습니다.
당연히 반대 쪽은 일반 3.5인치 일반하드로 연결합니다.
전원은 HDD나 ODD같은 3.5인치 기기를 위한 전원부가 따로 판매되는것이 있습니다.(대략 12000원)
아니면 HDD나 ODD를 USB로 변환 연결해 주는 외장 케이블을 구입시 같이 살수 있습니다. (15000~35000원 수준)
사진에 왼쪽 가운데의 네모난 물체가 그 전원장치입니다.
선도 예전보다 간편해 졌습니다. 노트북의 메인하드는 당연히 600G로 늘어났고 특히 일반 3.5인치 하드답게 엄청난 속도 향상이 있습니다. 사진등 수많은 파일을 변환하거나 하는 작업에서 체감이 될정도로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기존의 2.5인치 하드는 테스트용으로 리눅스를 깔던 무었을하던 마음대로 해도 됩니다.
데스크탑대신 노트북을 집에서 사용하신다면 2000냥짜리 케이블로 최고의 성능과 용량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아니면 HDD나 ODD를 USB로 변환 연결해 주는 외장 케이블을 구입시 같이 살수 있습니다. (15000~35000원 수준)
사진에 왼쪽 가운데의 네모난 물체가 그 전원장치입니다.

기존의 2.5인치 하드는 테스트용으로 리눅스를 깔던 무었을하던 마음대로 해도 됩니다.
데스크탑대신 노트북을 집에서 사용하신다면 2000냥짜리 케이블로 최고의 성능과 용량을 얻으시기 바랍니다.
덧글
하지만 기존의 2.5하드는 밖에 들고만 다닐때 원래대로 넣어서 다닐수도 있습니다.
밖에선 2.5" 그냥 외부용 (--;;;
가장 큰 문제가 하드디스크였는데, 3.5인치 하드디스크를 장착했다면, 개인서버용으로 이만한 컴퓨터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ㅋㅋ
상호이름좀 알려주셔요..찾아봐도 못찾겠어용..--;
chsajc@korea.com
창성교역으로 검색하니 홈페이지가 나오네요.
거기서 판매하는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이 제 노트북도 3.5인치 외장하드랑 연결하려고 합니다.
3.5외장하드에 전원 공급을 파워서플라이로 하면 될까여??
그리고 확인차 질문 드리는데요.. 3.5인치 외장하드를 sata케이블로 직접 노트북과 연결 할 수 있는 것 맞나요?
그외 위와 같이 따라 할때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http://brainage.egloos.com/4789586
시중에 파는 USB용 하드연결 컨버터를 보면 외장전원도 포함되 있습니다. 전 이걸 이용해서 사용한지가 제법됩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아무래도 덩치와 소비전력이 좀 되서 그렇긴 합니다만 안되는건 아닙니다.
저걸로 하다가 속도가 마음에 안들어서 이 포스팅에 나온 직접 연결로 방식을 바꾼거지요. ^^;